세대교체·저변확대·경쟁력 강화…장애인스포츠 성과와 과제

작성일 2023.10.29 조회수 585

  • 등록일
    가입코드 : 전용도메인
  • 등록일
    가입코드 : 전용도메인
  • 등록일
    가입코드 : 전용도메인
  • 등록일
    가입코드 : 토토의 민족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집중 육성 사업의 효과 확인…얇은 선수층은 풀지 못한 숙제

배드민턴 유수영
배드민턴 유수영

[대한장애인체육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항저우=연합뉴스) 설하은 기자·항저우 공동취재단 = 성과도 과제도 뚜렷했다.

28일 막을 내린 2022 항저우 장애인아시안게임에서 한국 대표팀은 애초 목표했던 금메달 39개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종합 4위(금 30, 은 33, 동 40개)는 지켰다.

또한, '우수선수 집중 육성의 성과'를 이번 대회에서 확인했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올해부터 경기력이 우수한 선수를 선발해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function googleBodyAd(conBoxName, conPosName, adCodeID) { var adBodyBox = document.querySelector(conBoxName); var adBodyPos = document.querySelector(conPosName); console.log(adBodyPos, adBodyBox); if (adBodyPos){ googletag.cmd.push(function() { googletag.display(adCodeID); }); } else if (adBodyBox) { setTimeout(function(){ googleBodyAd('.article-ad-box .area01','.article .article-ad-box .area01','div-gpt-ad-1588124879138-0'); googleBodyAd('.article-ad-box .area02','.article .article-ad-box .area02','div-gpt-ad-1666334838950-0'); } , 1000); } })();

체육회가 선발한 우수선수 중 항저우 장애인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선수는 54명이고, 이 중 80%인 43명이 메달을 목에 걸었다. 금메달리스트는 17명으로 '집중 지원'의 효과를 봤다.

우수선수 집중 육성 외에도 기초종목 육성사업 대상자였던 선수들의 활약도 주목할 만하다.

2018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에서 발굴한 배드민턴 유수영(은 1, 동 1개)과 정겨울(동 1개), 태권도 김원선(동 1개)이 시상대에 오르면서 2024 파리 패럴림픽과 2028 로스앤젤레스 패럴림픽 전망을 밝혔다.

기초종목 육성사업 종목인 육상(2018년 자카르타 대회 38.04세→ 2023년 항저우 대회 31.18세), 배드민턴(41.15세→36.71세) 등에서도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다만, 구기종목에서의 세대교체와 국제경쟁력 강화는 숙제로 남았다.

휠체어펜싱 대표팀의 평균 연령은 2018 인도네시아 대회 때보다 7.4세 가까이 낮아졌고, 휠체어테니스 역시 약 2.9세 어려졌지만, 남자 좌식배구 대표팀의 평균 연령은 45세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월등히 높다.

한국 선수단의 이번 대회 전체 평균 연령은 39.1세로 5년 전(38.5세)보다 소폭 올랐다.

항저우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결산 기자회견
항저우 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결산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김진혁 선수단장이 28일 스피텔 항저우 잉관호텔에 위치한 2022 항저우 장애인아시안게임 코리아하우스에서 열린 결산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옆은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장(왼쪽)과 박종철 총감독. 2023.10.28 [사진공동취재단] [email protected]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 회장은 28일 결산 기자회견에서 "실업팀 창단, 선수 발굴, 리그제 시행도 강화할 것"이라며 "국내 선수층이 얇은 만큼 동·하계 종목 병행 또는 전환도 적극 권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철 총감독 역시 "2021년 기준 장애 학생이 10만명 정도인데 선수로 뛸 만한 학생들은 1만명 정도"라며 "학생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라고 세대교체의 중요성을 짚었다.

아울러, 장애인 생활체육 저변 확대도 중점 과제로 꼽힌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20 장애인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장애인 10명 중 8명은 후천적 질환이나 사고를 인한 '후천적 장애인'이다.

사고로 장애를 얻은 김진혁 한국 선수단장은 "후천적 장애인들이 많이 유입돼야 한다"며 "내가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종교 단체와 보험사만 찾아왔다. 체육 활동을 권하는 사람은 없었다. 지금도 방 안에 누워만 있는 장애인들을 생활체육 현장으로 먼저 불러내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이러한 중요성을 절감하고 여러 생활체육 보급 사업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레거시로 장애인생활체육활성화 정책을 발표해 장애인 우선 사용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관 150개소 건립과 장애인 전문 생활체육지도사 1천200명 배치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정진완 회장은 "생활체육을 통해 참여했다가 소질을 발굴하고 전문 선수가 되는 경우도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꾸준하게 보급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0,489 / 502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승부예측 포인트 이벤트




알림 0